목록DATABASE (12)
노승현
여러 개의 SELECT 문 결과를 합치기 위해서는 UNION, UNION ALL을 사용하면 된다.UNION을 사용할 경우 합쳐진 결과에서 중복을 제거한 결과를 반환하고UNION ALL을 사용하면 중복을 제거하지 않고 합쳐진 결과를 그대로 반환한다.UNION ALL이 중복을 제거하지 않으므로 UNION 보다 속도가 빠르다. UNION : 각 쿼리의 결과 합을 반환하는 합집합 (중복제거)UNION ALL : 각 쿼리의 모든 결과를 포함한 합집합 (중복제거 안함)중복을 제거하지 않으므로 UNION 보다 속도가 빠르다. MySQL 내부적으로 UNION ALL과 UNION을 처리하는 과정1. 최종 UNION [ALL / DISTINCT ] 결과에 적합한 임시 테이블을 메모리 테이블로 생성2. UNION 또는 U..

정규 표현식 윈도우 함수 순서 PARTITION BY ORDER BYROWS | RANGE BETWEEN A AND B 윈도우 함수의 연산 범위 : 집계 연산 시 행의 범위 설정 가능 ROWS, RANGE 차이ROWS : 값이 같더라도 각 행씩 연산RANGE : 같은 값의 경우 하나의 RANGE 로 묶어서 동시 연산 (default)BETWEEN A AND B시작점 정의 CURRENT ROW : 현재행부터UNBOUNDED PRECEDING : 처음부터 (default)N PRECEDING : 이전부터마지막 시점 정의CURRENT ROW : 현재행부터 (default)UNBOUNDED FOLLOWING : 마지막까지N FOLLOWING : N 이후까지 순위 관련 함수 RANK (순위)RANK WITHI..
데이터 모델링 유의점 1.중복 2.비유연성3.비일관성 데이터 모델링 3가지 요소 대상 (Entity)속성 (Attribute)관계 (Relationship) 데이터 모델링 3단계 위로 갈수록 초상화 수준이 높음아래로 갈수록 구체적임 개념적 모델링논리적 모델링물리적 모델링 데이터 모델의 표기법 ERD (Entity Realationship Diagram)ERD 작성 절차 엔터티 도출한 후 그린다엔터티 배치엔터티 간의 관계를 설정관계명을 서술관계의 참여도 기술관계의 필수 여부를 확인 엔터티의 개념 행을 나타내는 인스턴스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집합 엔터티 : 학생속성 : 학번, 이름, 학과, …식별자 : 학번(고유한 학번으로 각 학생을 식별) 엔터티의 특징1.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 가능 (사번,학번..
조건에 맞는 데이터 개수 세기 : COUNT, COUNT_BIG 함수 COUNT 함수가 반환하는 값은 INT 범위이고 COUNT_BIG 함수가반환하는 값은 BIGINT 범위이므로, 만약 데이터 개수가 21억개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COUNT_BIG 함수를 사용한다. SELECT COUNT(column_name) FROM 테이블명 데이터 합 구하기 : SUM 함수 SUM 함수는 모든 행의 값을 합하지만, DISTINCT 문을 조합해 중복값을 무시하고 고유값에만 SUM 함수를 적용할 수도 있다. SELECT SUM (column_name) FROM 테이블명 입력 자료형 반환 자료형 tinyint int smallint int int int bigint bigint decimal(p,s) decimal(..
1. 서버의 현재 날짜, 시간 반환하기 : GETDATE, SYSDATETIME 현재 접속 중인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시간을 확인하려면 GETGATE 함수 또는 SYSDATETIME 함수를 사용한다. 두 함수의 차이점은 GETDATE 함수는 소수점 3자리까지, SYSDATETIME 함수는 소수점 7자리까지 시간을 표현한다는 점이다. 2. 서버의 현재 UTC 날짜, 시간 반환하기 : GETUTCDATE, SYSUTCDATETIME 함수 현재 접속한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협정 세계시, 즉 UTC 사긴을 확인하려면 GETUTCDATE 함수나 SYSUTCDATETIME 함수를 사용한다. 3. 날짜 더하기 : DATEADD 함수 날짜를 더하거나 뺴려면 DATEADD 함수를 사용한다. DATEADD 함수는 다음과 같이..
1.CONCAT() 또는 || 연산자: CONCAT() 함수 또는 || 연산자는 두 개 이상의 문자열을 결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주로 이름과 성을 합칠 때나 여러 열의 값을 결합할 때 유용합니다. SELECT CONCAT(first_name, ' ', last_name) AS full_name FROM employees; 또는 SELECT first_name || ' ' || last_name AS full_name FROM employees; 2. LENGTH() 또는 LEN(): LENGTH() 함수는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필드의 데이터 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LECT LENGTH(name) AS name_length FROM products; 또는 SELEC..
테이블을 2개 이상 조인한다는 의미? SQL 데이터베이스에서 조인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 간에 관련된 데이터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조인을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쿼리로 여러 테이블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며, 테이블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외래 키(Foreign Key)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내부조인의 기본 형식 SELECT [열 이름] FROM [테이블 1] INNER JOIN [테이블2] ON [테이블 1.열] = [테이블 2.열] WHERE [검색 조건] INNER JOIN (내부 조인): 이는 조인 조건에 부합하는 행만 반환합니다. 즉, 두 테이블 간의 공통된 값이 있는 행만을 결합합니다. ON 문과 WHERE 문의 차이 두 ..
숫자형 알아보기 자료형 데이터 크기(byte) 숫자 범위 설명 bit 1 0,1,NULL 불리언 형식으로 참 또는 거짓으로 사용 tinyint 1 0~255 정수 데이터를 사용하는 정확한 숫자 자료형으로 숫자를 저장할 때 가장 많이 사용 smallint 2 -32,768~32,767 int 4 -2^31(약 -21억)~ 2^31-1(약 21 억) big 8 -2^63~2^63-1 decimal(p,s) 5~17 -10^38+1~10^38-1 전체 자릿수와 소수 자릿수가 고정된 숫자로, 최대 38자리 사용 numberic(p,s) 5~17 -10^38+1~10^38-1 float(n) 4~8 -1.79E+308~1.79E+308 real 4 -3.40E+38~3.40E+38 부동 소수저 숫자 데이터에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