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승현
EL , Spring 본문
EL expression language(표현 언어)
request,session,application
저장된 attribute 를 곧바로 작성 가능
EL (Expression Language)은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팅 언어
EL은 JSP에서 변수, 속성, 컬렉션 등의 데이터에 접근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
주요기능
1. 변수 접근: EL을 사용하여 JSP 페이지에서 변수에 접근
2. 속성 접근: EL을 사용하여 JSP 페이지에서 객체의 속성에 접근
3. 컬렉션 접근: EL을 사용하여 배열이나 리스트와 같은 컬렉션의 요소에 접근
4. 연산: EL을 사용하여 산술, 논리, 관계 연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do 와 .jsp 경로 차이
test.jsp 라는 페이지가 존재할 때
페이지를 이동할 때 이 페이지를 갈 수 있는 액션은 단 1개 존재해야됨
== forward.setPath(“test.jsp”); 는 단 1개 존재
jsp에서 이미 다 선언해놔서 나머지는 do를 사용해서 이동한다.
SpringFramework 장점 경로 관리를 알아서 해준다.
👍🏻
doAction doGet doPost 객체가 수행
FrontController 객체가 .doGet(); .doPost(); 수행하고 있는 것
New FrontController(); ?? 톰캣이 해준다.
.doAction() 메서드가 static 이 아님
즉, 객체가 실행중임
근데? 객체화를 한적이 없다…
New FrontController() 를 누가 할까?
정답 : 톰캣( 웹 서버, “서블릿 컨테이너”)
서블릿 == .java, 서블릿 파일, not POJO
컨테이너 == 객체화를 해주는 주체, 객체를 생성하는 주체
, new 를 수행해주는 주체
서블릿 컨테이너는 신호를(설정)을 받으면 해당 서블릿을 new 해주기로 약속되어 있는데,
이 설정이 @WebServlet(“*.do”)이다.
@ 으로(== 컨테이너를 활용해서) new 를 수행하면 좋은 이유
👍🏻 “싱글톤 패턴”을 유지 시켜줌
== 전체 프로그램에 해당 객체가 단 1개 존재하는 것
현재 우리가 직접 new 한 것들은 싱글톤 패턴이 전혀 지켜지지 않음
컨테이너를 활용하면, 기존에 해당 객체가 있다면 더 이상 new 를 하지 않는다.
'JAVA > 개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동기 처리 (0) | 2024.01.15 |
---|---|
JSP MVC pattern 2 (0) | 2024.01.11 |
JSP 회원가입 게시글 이해 (1) | 2024.01.10 |
DTO,DAO 란? (0) | 2023.12.13 |
예외처리란? (0) | 2023.12.09 |